설치된 업데이트에서 Microsoft Office File Validation Add-In 를 삭제 하면 된다


대충 vali 로 검색해서 나오는거 삭제하니 잘됨

레지스트리 수정이 필요


1. 컴퓨터\HKEY_CLASSES_ROOT\Excel.Sheet.12\shell\Open\command

 - (기본값) 내용의 마지막을 /en "%1" 으로 수정

 - command 삭제 (폴더 삭제가 아닌 폴더 안에 있는 command 값을 삭제해야함)



2. 컴퓨터\HKEY_CLASSES_ROOT\Excel.Sheet.12\shell\Open\ddeexec

  - 폴더 삭제



※ 결과




VMWare ESXi 는 가상화 지원 플랫폼

ESXi의 IP 설정은 관리네트워크 즉 ESXi 로의 접속을 위한 설정일뿐


윈도우 VMWARE의 가상스위치와 같은 브릿지 역할을 하지 않음


설치된 가상OS 별로 IP설정을 해주면 인터넷 연결이 됨


쉽게 생각하면

ESXi - 서버실

ESXi의 IP - 서버실 출입키


가상OS - 별도의 랜선


공유해서 쓸려면 가상OS로 공유기를 올려야함

이때 IP 하나로 쓸려면 ESXi 로 가는 IP를 공유기로 돌려야할 것 같은데, 굳이 해볼 필요는 없을 듯,

그냥 공유기 하나 별도로 물려주는게 정신건강에 이로울 것으로 봄, 포트포워딩 하는 것도 그렇고...


그나저나 랜카드 하나에 IP를 여러개 무는건 처음해봐서 신기방기하네

https://letsencrypt.org/


무료 SSL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는 Let's Encrypt 입니다. 모질라 재단등 자유소프트웨어 진영에서 나온 인증서고, 자세한 설명은 다른 사이트나 홈페이지에 나와있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장점은 완전하게 무료이고, 발급이 즉시 된다는 겁니다. 딱히 개인정보가 필요하지도 않고 오로지 이메일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단점은 3개월 마다 갱신해줘야하며, 와일드카드 인증서가 안됩니다. (www.aaa.com, sub1.aaa.com 은 별개의 도메인 인증서로 발급)


인증서를 받는 방법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1. 관리용 이메일 등록 및 URL -> 등록 토큰 발급

2. 요청 위치에 토큰 등록 -> 인증 요청

3. 인증서 발급~


OS 별로 자동화 툴들이 있습니다.


리눅스 적용은 다른 블로그가 많으므로 추후 추가하겠습니다.

Synology NAS 의 경우 DSM 6.0부터 쉽게 추가가 가능합니다.

제어판 -> 보안 -> 인증서 -> 추가 버튼 클릭 후, Let's Encrypt 로 선택하여 추가하면 됩니다.

도메인이 없는 경우, 공유기에서 무료로 지원해주는 DDNS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서버의 경우 PowerShell 모듈인 ACMESharp 을 통해 수동으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IIS 서버의 경우, 아무 설정도 안했다면 기본 서버 인증서를 1개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으므로,

중앙인증서 기능을 설치하여 pfx 파일로 SSL 인증을 하셔야합니다.

※ 중앙인증서 설치시 등록한 사이트 별로 SSL 인증서를 각각 지정할 수 있습니다.


세부 사항은 추후 다듬겠습니다~

+ Recent posts